청년도전 지원사업 알아보기
이번시간에는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전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구직단념 청년들에게 구직의욕과 자신감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노동시장 참여와 취업 촉진을 지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전 지원사업의 목적, 내용, 지원대상, 특징, 그리고 지원규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 목적
청년도전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됩니다.
- 구직단념청년 등을 발굴하고 구직의욕과 자신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 노동시장 참여와 취업을 촉진하여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
사업 내용
청년도전 지원사업은 아래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 구직단념청년 등 발굴·모집
청년들 중에서 구직단념을 가진 청년들을 발굴하고 모집합니다. - 사회활동 참여의욕 고취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이수
구직단념 청년들에게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회활동 참여의욕을 고취시키고 자신감을 상승시킵니다. 이 프로그램은 단기(1~2개월)인 ‘도전’ 프로그램과 중장기(5개월 이상)인 ‘도전+’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 연계 지원
프로그램 이수 후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직업훈련 등을 통해 취업을 촉진시키는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촉진장려금이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의 제도와 연계하여 지원됩니다.
지원 대상 및 신청
청년도전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은 대상을 지원합니다.
- 구직단념청년: 취업 또는 교육·직업훈련 참여 이력이 없고, 구직단념청년 문답표에서 21점 이상을 받은 만 18세~34세 청년입니다.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는 예외입니다.)
- 자립준비청년: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보호를 받다가 퇴소한 청년 중, 퇴소 후 5년 이내인 경우나 퇴소일을 연장한 경우를 포함합니다.
- 청소년 쉼터 입·퇴소 청년: 청소년 쉼터에서 1년 이상 보호를 받은 만 18세 이상의 청년을 지원합니다.
- 북한 이탈 청년: 북한을 이탈한 만 18세~34세 청년으로서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으며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을 지원합니다.
온라인
- 워크넷 홈페이지 접속 후
- 회원가입 후 구직회원으로 전환
- 고용복지정책 > 청년도전지원사업
오프라인
- 내 주변 운영기관 확인
- 직접 방문
- 상담 및 신청
지역특화
지역특화는 공통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청년들에게도 지원의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해당 지역의 특화 기준에 따라 지원됩니다. 지자체마다 지역특화 기준은 다를 수 있으며, 보호시설 독립 후 취업지원서비스 참여가 어려운 청년, 심리상담이 필요한 청년, 경력단절 여성, 폐업 자영업 청년 등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지원 규모
청년도전 지원사업은 총 8,000명의 청년들을 지원합니다. 그 중 3,000명은 ‘도전’ 프로그램을, 5,000명은 ‘도전+’ 프로그램을 이수하게 됩니다.
지원내용
도전 프로그램
- 참여기관: (인센티브) 이수시 50만원
- 운영기관: (프로그램사업비) 80만원
도전+ 프로그램
- 참여기관: (인센티브) 이수시 50만원, (참여수당) 250만원(월 50만원×5개월)
- 운영기관: (인센티브) 이수시 25만원, 취업 등 성과 연계시 25만원, (프로그램사업비) 400만원(월 80만원×5개월)
이상으로 청년도전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들의 취업을 응원합니다.